연평도 포격사건이 일어난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6.25 사태 이후
민간인을 향한 북한의 첫 공격
오늘은 이 연평도 포격사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건의 시작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4분
대한민국 서해 연평도에
포탄이 떨어집니다.
이날 연평도에선 대한민국 해병이
포탄 사격 훈련을 하고 있었고
북한은 이 훈련에 대해서 침략행위라고 경고했고
해군이 훈련이 끝나고 복귀하는 도중
연평도엔 170여 발의 포탄이 떨어졌습니다.
대한민국은
북한의 첫 포격 13분 뒤인 2시 47분부터
대응사격을 시작했으며
약 80여 발의 포격을 했다고 알려집니다.
그리고 3시 41분 포격은 끝납니다.
이 공격에서 북한이 방사포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122mm와 240mm 로켓탄 일부가
연평도에서 발견되었다는데
이는 북한이 처음부터 계획적으로
이번 공격을 준비했다는 증거라고 합니다.
240mm 방사포는 해안포해안포 부대에 배치되지 않은
군단급 지원화기이기 때문이라고 하죠.
대한민국의 대응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명박은
강력하게 대응했고
KF-16, F-15K 전투기를 출격시키고
K-9 자주포로 대응사격을 했죠.
선제공격을 받은 대한민국은
k-9 자주포 2대가 손상됐지만
나머지 3대로 반격했으며
손상됐던 K-9 한대도 긴급 수리해서
반격했다고 알려집니다.
일각에선 북한의 첫 공격 후 대응까지
13분 걸린 것을 지적했지만
상당히 빠른 반격이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
북한도 전투기 및 함정을 출동시켰지만
다행히 공중과 해상에서의 충돌직전에
마무리됐죠.
대한민국 피해
연평도 포격 사건은
군부대를 겨냥했고 초반
군시설에 피해를 줬습니다.
계획된 공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욱 심각했던 것은
민간 거주 지역에도
포탄을 발사했다는 것이죠.
위의 사진들만 봐도
얼마나 심각했는지 짐작이 됩니다.
포격이 끝난 뒤 확인된
대한민국의 사상자는
해병 2명 사망, 6명 중상, 10명 경상
민간인 2명 사망, 3명 경상.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은 국군 수도병원으로
이송 중 사망했다고 알려집니다.
특히 서정우 하사는 자신의 싸이월드를 통해
23일 휴가를 가는 날이었음이 알려졌죠.
휴가를 가기 위해 배편을 기다리던 중 북의 포 공격이 시작되자
휴가 인솔 부사관의 복귀 명령에 따라
차량을 타고 가다가 다른 동료 2명과 내려서
인근 방공호로 몸을 피하려다 방공호를 300여 m 가량 남겨 놓고
인근에서 터진 포탄 파편에 맞아 숨졌습니다.
그래서 더욱 안타까움이 컸죠.
문광욱 일병은 대피호에 있던 중
잠시 밖으로 나왔다가
주변에 터진 포탄 파편에 가슴을 관통당해 숨졌습니다.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은
사망자 일계급 특진에 화랑무공훈장이 수여됐습니다.
북한의 피해
북한의 방사포보단 K-9의 정확도와
파괴력이 압도하기 때문에
170여 발을 쐈던 북한에 비해
80여 발을 대응한 대한민국이지만
피해상황은 북한이 훨씬 컸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북한의 사정을 정확히는 알 수 없었지만
포격사건 이후 김정은은
이 사건으로 사망한 병사들에게
영웅칭호를 내렸습니다.
그리고 탈북 군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사망자 10명에 부상자는 30여 명에 이른다고 알려지죠.
이 사건 이후 연평도 해병대가 증강됐으며
미사일 등 많은 무기가 배치됐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연평도에선
10년주기로 북한의 침략이 일어났습니다.
1999년 1차 연평해전
2002년 2차 연평해전
2010년 천안함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이제 연평도 포격과 천안함 사건이 터진 지
10년이 되는 해입니다.
언제 또 북한의 도발과 공격이 있을지 모릅니다.
대비하고 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저도 육군을 전역했지만
대한민국 군인들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군인 여러분들 항상 힘내시고 응원합니다.
'대한민국 사고 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햄버거병(HUS 용혈성 요독 증후군) 안산유치원 14명 감염과 맥도날드 사건 (0) | 2020.06.25 |
---|---|
판문점 도끼 만행(살인)사건에 대해서 아십니까? (0) | 2020.06.22 |
북한 개성 남북 연락 사무소 폭발 정리 (0) | 2020.06.16 |
1988년 지강헌 사건 유전무죄 무전유죄 알아보기 (0) | 2020.06.15 |
1992년 LA 흑인 폭동사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0.06.02 |
댓글